Tastefully Yours
당신의 맛:
GENIE TV, Netflix Series
The title sequence centers around a single space in the drama, "Jeongje," and unfolds a series of delightful events that take place over the course of one day through a combination of 3D miniature sets and 2D character animation. It visually captures the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opposite in personality, background, and traits—as they go through ups and downs, gradually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finding balance, mirrored by the transformation of the "Jeongje" space.
드라마 속 단일 공간인 ‘정제’를 중심으로, 하루 동안 벌어지는 유쾌한 사건들을 3D 미니어처와 2D 캐릭터 애니메이션으로 풀어낸 타이틀 시퀀스입니다. 서로 상반된 성향과 환경, 특성을 지닌 두 남녀가 좌충우돌하며 점차 서로를 이해하고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을, ‘정제’라는 공간의 변화와 함께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To condense and convey the emotional arc of the drama, the sequence was structured around a single day, with each full rotation of the "Jeongje" space representing the passage of time. This setup symbolizes more than just the flow of time—it reflects the evolv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haracters as they gradually grow closer and complement each other. The transformation of the once-chaotic space into a warm and organized environment is also closely tied to their emotional development.
드라마의 감정 흐름을 압축해 전달하기 위해 시퀀스를 ‘하루’라는 시간 구조로 설정하고, ‘정제’가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구성을 사용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시간 경과 이상의 의미로, 서로에게 서서히 스며들고 보완해 나가는 두 인물의 관계 변화를 상징합니다. 처음엔 어수선했던 공간이, 점차 따뜻하고 정돈된 분위기로 변화하는 과정 역시 두 사람의 감정 변화와 연계되어 있습니다.
Pre-Production
During the pre-production phase, we proposed three different concepts to the client. To bring the ideas in our minds into clearer form, we collected a wide range of references and used AI tools to quickly visualize tone and mood, helping us define the overall direction.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우리는 클라이언트에게 세 가지 콘셉트를 제안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머릿속의 이미지를 구체화하기 위해 다양한 레퍼런스를 수집하고, AI 툴을 활용해 빠르게 톤앤무드를 시각화하며 방향성을 정립해 나갔습니다.
In the end, we decided on a hybrid look where 2D characters interact within a 3D miniature restaurant space. This diorama-like setting evokes a sense of nostalgia and familiarity unique to both 2D and 3D aesthetics, while the contrast between flat and dimensional elements creates visual tension and enhances immersion.
최종적으로 2D 캐릭터가 3D 미니어처 레스토랑 공간 안에서 상호작용하는 하이브리드 룩으로 결정이 되었습니다. 이 다이오라마 같은 공간은 2D와 3D 모두가 지닌 친숙함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평면과 입체의 대비를 통해 시각적 긴장감을 더하고 몰입감을 유도합니다.
Style Frames
3D Environment
"Jeongje" is a fine dining restaurant run by the main character, Yeonju, and serves as the central setting for the drama’s key scenes. For the opening title, we reconstructed the actual set and redesigned it as a miniature building, capturing both the drama’s warm atmosphere and the analog charm unique to miniatures in CG.
To further enhance the miniature feel, we meticulously adjusted the scale and layout of the props and incorporated an unrefined asymmetrical structure and hand-crafted textures—allowing the CG to retain the tactile quality of real miniatures.
‘정제’는 주인공 연주가 운영하는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으로, 극 중 주요 장면들이 이 공간에서 펼쳐집니다. 오프닝 타이틀을 위해 우리는 실제 세트를 고증해 ‘정제’ 공간을 하나의 미니어처 건물처럼 새롭게 설계하고, 드라마의 따뜻한 분위기와 미니어처 특유의 아날로그 감성을 담아 CG로 구현했습니다. 또한 미니어처의 느낌을 극대화 하기위해 프랍들의 스케일과 레이아웃을 세밀하게 조정하고, 정제되지 않은 비대칭 구조와 수작업 특유의 질감을 더해 CG 속에서도 실제 미니어처의 손맛이 느껴지도록 표현했습니다.
We designed two versions of "Jeongj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tory. It begins as a warm and rustic space with an old kitchen feel, and later transitions to a remodeled version that reflects the changed relationship. We emphasized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spaces through differences in color, texture, pattern, and props, and aimed to show the emotional changes of the characters along with the space’s upgrade.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정제’를 두 가지 버전으로 디자인했습니다. 처음에는 오래된 주방 느낌의 따뜻하고 투박한 공간으로 시작해, 후반부에는 변화된 관계를 반영하듯 리모델링된 정제의 모습으로 전환됩니다. 색감, 텍스처, 패턴, 소품 구성의 차이를 통해 두 공간의 대비를 강조했으며, 캐릭터의 감정 변화와 공간의 업그레이드를 함께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3D Assets
Yeon-joo's Prop.
Myunj-suk's Prop.
Chun-seung's Prop.
Beom-woo's Prop.
3D Lighting & Compositing
To capture the flow of a full day’s story within a single scene, we structured the sequence as a continuous one-take shot. By layering time-of-day lighting and evolving color tones over a minimal white backdrop, we aimed to naturally convey the passage of time—from morning to night—along with the subtle emotional shifts that come with it.
“Jeongje” is a uniquely designed space that is both indoor and outdoor at the same time. To reflect this duality, we tailored the lighting approach accordingly. In wide shots where the entire structure is visible, we emphasized natural outdoor lighting to evoke a sense of openness and scale. As the camera moves closer to the characters, the lighting focus gradually shifts to a warmer, more intimate indoor setup, helping to guide attention to emotional moments. In line with the miniature concept, we applied soft shadows and warm tones to evoke a handcrafted, analog aesthetic and create a cozy atmosphere.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ensuring that the lighting and interior elements transition smoothly within the same space, reinforcing the narrative flow and supporting the emotional journey of the characters.
하루 동안의 이야기 흐름을 하나의 장면 안에 담기 위해 오프닝 시퀀스를 롱테이크로 구성했습니다. 심플한 흰색 배경 위에 시간대에 따라 변화하는 라이팅과 컬러 톤을 덧입혀, 아침부터 밤까지의 흐름과 그에 따른 감정 변화를 자연스럽게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정제’는 실내이면서도 동시에 실외인 독특한 구조의 공간입니다. 이러한 이중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라이팅 또한 상황에 맞게 설계했습니다. 건물 전체가 한눈에 보이는 장면에서는 개방감과 공간감을 살리기 위해 자연광 기반의 실외 조명을 강조했고, 카메라가 캐릭터에게 가까워질수록 더 아늑한 실내 조명으로 포커스를 전환하여 감정적인 순간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미니어처 콘셉트에 맞춰 부드러운 그림자와 따뜻한 톤을 적용,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포근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동일한 공간 안에서 라이팅과 인테리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전환되도록 세심하게 설계함으로써, 내러티브의 흐름을 더욱 부드럽게 연결하고 캐릭터들의 감정선을 강화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Lights + Atmosphere
2D Characters Development
The narrative of this opening title sequence is primarily driven by 2D character animation. To contrast the still, three-dimensional miniature space, the characters were presented in flat 2D to enhance the visual contrast.
The 2D characters actively lead the storyline, using exaggerated actions and humor to emphasize the upbeat and lively tone unique to the romantic comedy genre. Their emotional changes and evolving relationships are also organically tied to the spatial transitions, adding energy to the story’s flow and increasing emotional engagement. Character designs focused on reflecting the characters' real-life appearance and personality. We referenced their typical outfits from the show and designed them in a way that highlights each character’s distinct traits, helping viewers quickly connect with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story.
이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의 내러티브는 2D 캐릭터 애니메이션이 실질적으로 이끌어갑니다. 정적이고 입체적인 3D 미니어처 공간과 대조되도록, 캐릭터는 평면적인 2D로 표현해 시각적 대비를 강화했습니다. 2D 캐릭터는 극의 흐름을 능동적으로 이끌고, 과장된 액션과 유머를 통해 로맨틱 코미디 장르 특유의 밝고 경쾌한 톤을 강조합니다. 또한 캐릭터의 감정 변화와 인물 간 관계의 흐름이 공간의 변화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해, 전체 이야기의 흐름에 활력을 더하고 감정적 몰입도를 높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캐릭터 디자인은 등장인물들의 실제 외형과 성격을 반영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극 중 자주 입는 의상과 주요 아웃핏을 참고해 각자의 개성이 드러나는 스타일로 디자인했습니다. 이를 통해 시청자들이 캐릭터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Casual Outfit
Uniform Outfit
Motion Graphics
This scene focuses less on the surface-level narrative and more on expressing the emotional complexity of the main character, Beom-woo. At this point in the story, Beom-woo is in a state of emotional confusion. He’s unsure whether his feelings for Yeon-joo are mere curiosity or something deeper. He struggles between his goal of achieving the “Diamant Three-Star,” his identity as a “recipe hunter,” and his responsibility as Jeongje’s marketing manager. As his beliefs begin to waver and his values shift, he starts questioning who he really is.
이 장면은 이야기의 표면적인 흐름보다는, 주인공 ‘범우’의 복잡한 내면을 감정적으로 표현하는 데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 시점의 범우는 여러 감정이 얽힌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습니다. 연주를 향한 감정이 단순한 호기심인지 그 이상인지 혼란스러워하고, ‘디아망 쓰리 스타’라는 목표, ‘레시피 사냥꾼’으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정제 마케팅 담당자로서의 책임감 사이에서 갈등합니다. 연주로 인해 흔들리는 신념과 변화하는 가치관 속에서 그는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점점 의문을 갖게 됩니다.
To visually represent this emotional conflict and internal noise, we adopted a “decorated diary” concept. Handwritten notes, cut-out images, stickers, and sketch elements were combined to illustrate the inside of Beom-woo’s mind in a sensory way—capturing his emotional turbulence densely within a single scene, like a “What’s in my mind” visual.
이러한 감정의 충돌과 내면의 소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다이어리 꾸미기’ 콘셉트를 차용했습니다. 손글씨, 오려 붙인 이미지, 스티커, 드로잉 요소 등을 조합해 범우의 머릿속을 감각적으로 구성했으며, ‘What’s in my mind’ 형식처럼 하나의 장면 안에 그의 복잡한 감정들을 밀도 있게 담아내고자 했습니다.
2D Compositing
The biggest technical challenge of this project was seamlessly blending 2D and 3D elements. Although the concept may appear simple at first glance, achieving visual completeness required careful consideration and decision-making, such as how flat the 2D characters should appear, whether props like cooking tools should be designed in 2D or 3D, whether characters should be composited directly into the 3D scene or added as separate layers, and how lighting and shadows should be handled. Since testing every option wasn’t realistic, we conducted visual research, internal tests, and iterative refinements to find the right balance that maintained stylistic consistency without disrupting the narrative flow.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큰 테크니컬 챌린지는 2D와 3D를 자연스럽게 결합하는 것이었습니다. 겉보기엔 단순한 콘셉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시각적 완성도를 위해 많은 고민과 판단을 요구했습니다. 2D 캐릭터를 얼마나 평면적으로 보여줄지, 캐릭터가 사용하는 소품(예: 요리도구)을 2D로 표현할지 3D로 제작할지, 캐릭터를 3D 씬에 직접 합성할지 혹은 별도 레이어로 삽입할지, 합성 시 라이팅과 그림자를 어떻게 처리할지 등 우리는 모든 고민들을 일일이 진행할 수 없었기에, 비주얼 리서치와 내부 테스트, 반복 수정을 통해 장면의 흐름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스타일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균형점을 찾아갔습니다.
Since 2D sequences are inherently flat images, we carefully rebuilt the compositing elements to match the lighting tone, direction, and shadow length of the final 3D scene. To minimize the disconnect between the 2D characters and the 3D environment, we added lighting, shading, and shadows to the characters so they could naturally blend into the dimensional space. We also applied color grading to the characters based on the tone and palette of the 3D background, allowing them to harmonize with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cene.
2D 시퀀스는 본질적으로 평면적인 이미지이기 때문에, 컴포지팅 요소들은 최종 3D 씬의 라이팅 톤, 방향, 그림자 길이에 맞춰 세밀하게 재구성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3D 공간과의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캐릭터에 라이팅, 쉐이딩, 그림자를 추가해 입체적인 공간 안에서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컴포지팅했습니다. 또한 3D 배경의 색감과 톤에 맞춰 캐릭터에도 컬러 그레이딩을 적용함으로써 전체 씬의 분위기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Making of
Credits
Production: GIANTSTEP studios
Creative Director: Heebok Lee
Executive Producer: Yoosun Kang
Head of Production: Dongwook Cho
Head of Production: Dongwook Cho
Art Director: Hyunji Yoon
Storyboard Director: Hyunji Yoon
Storyboard: Seohee Choi, Jeyoon Jung
Edit: Hyunji Yoon
CG Supervisor: Seohee Choi
3D Layout/Set Dressing: Seohee Choi
3D Modeling Lead: Heesoo Chae
3D Modeling: Seohee Choi, Eunsil Bae, David Z Walz, Dongkyu Kim, Ema Klucovska, Dongwook Cho
3D Look Development: Seohee Choi, Heesoo Chae, Hyungsug Han, David Z Walz, Dongkyu Kim
3D Rigging/Animation: Ema Klucovska
3D Lighting/Compositing: Seohee Choi
2D Compositing: Hyunji Yoon, Seoyeon Lee
Design/Motion Graphics: Hyunji Yoon
Post Producer: Hyunji Yoon
Making of Director: Hyunji Yoon
Animation Director: Jeyoon Jung
Animation Supervisors: Jinwoo Lee, Jungsu Lee
Line Producer: Eunji Shin
Character Design: A-hyeon Park
2D Animation: Jeyoon Jung, Chanhee Lee, Wonhee Jung, Sujeong Kim, Eugene Sohn
Tie-down Animation: Jiwoo Kim
Cleanup/Color: MPNAVI
Animation Supervisors: Jinwoo Lee, Jungsu Lee
Line Producer: Eunji Shin
Character Design: A-hyeon Park
2D Animation: Jeyoon Jung, Chanhee Lee, Wonhee Jung, Sujeong Kim, Eugene Sohn
Tie-down Animation: Jiwoo Kim
Cleanup/Color: MPNA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