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book 2 1
Textbook 2 1
과학 기술의 혁신의 시대라고 불릴 만큼, 오늘날 우리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첨단 과학 기술을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다. 과학자들은 원자의 구조를 탐구하며 물질의 전자기적인 성질을 알아내고,
이를 응용하여 첨단 과학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이 단원에서는 반도체, 자성체 등 물질의 다양한
특성과 전자기 유도 현상이 일상생활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자.
24쪽
프로젝트 활동 안내 이 단원을 시작하면서 교과서 속 탐구 활동을 확장시킬 수 있는 ‘전기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조사’ 프로젝트 활동을
진행해 보자. 138쪽
알고 있나요?
82 Ⅱ. 물질과 전자기장
그림 II - 1 네온사인 그림 II - 2 발광 다이오드(LED)
1. 물질의 구조와 성질 83
탐구 ➊ 실험 전기력의 특징 탐구 능력
과정
플라스틱 막대를 털가죽으로 문지른 횟수를 달리한 후 금속구에 접촉해 대전된 양 플라스틱 막대를 털가죽으로
을 변화시키자. 또 두 금속구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킨 다음 금속구가 어떻게 움직 문지르면 털가죽은 (+)전하
를, 플라스틱 막대는 (-)전하
이는지 관찰하자.
를 띠게 된다. (▶ 중 2 과학,
진자 하나에는 털가죽을 접촉해 (+)전하로 대전하고, 다른 하나에는 플라스틱 막 전기와 자기)
대를 접촉해 (-)전하로 대전한 뒤, 과정 , 를 반복해 보자.
과정 과정
결과 및 정리
2. 대전된 진자의 거리가 가까울 때와 멀리 있을 때, 진자에 작용하는 힘이 어떻게 바뀌는가? 1. 전기력에 의한 금속구의 움직임의
변화를 관찰하였는가?
3. 플라스틱 막대에 털가죽을 많이 마찰할 때와 조금 마찰할 때, 진자에 작용하는 힘은 어떻게
2. 금 속구 사이의 거리와 금속구에
달라지는가?
대전된 전하량에 따른 전기력의
4. 위의 실험 결과를 통해 전기력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설명해 보자.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가?
84 Ⅱ. 물질과 전자기장
1. 물질의 구조와 성질 85
준비하기 들어가기
•교과서 88~89쪽의 디딤 다음의 원자 모형 그림과 그것을 주장한 사람이 일치하도록 선을 연결하여 보자.
자료를 읽고, 원자 모형을
알아보자.
• • • • •
• • • • •
돌턴 J.J. 톰슨 러더퍼드 보어 현대 과학자들
4. 다른 모둠이 발표할 때 경청하며 다른 과학자들의 원자 모형과 그 근거를 오른쪽 표에 정리해 보자.
모둠 모둠
모둠
모둠
86 Ⅱ. 물질과 전자기장
J. J. 톰슨
러더퍼드
보어
슈뢰딩거 외 현대 과학자들
정리
자기 평가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각 과학자들이 주장한 원자 모형을
1. 이해 현대의 과학자들은 원자가 어떠한 구조로 되어 있다고 설명하는가?
근거와 함께 설명할 수 있다.
2. 적용 톰슨은 자신이 발견한 입자인 전자의 질량이 수소 원자 질량의 1800 배나 가벼운
입자라는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
1. 물질의 구조와 성질 87
1. 톰슨의 원자 모형
돌턴(Dalton, J., 1766~1844)은 원자는 더 이상 쪼갤 도 휘어졌는데, 그 휘어지는 정도를 전기장에 의해 휘어지는
수 없는 가장 작은 단위라고 생각하였지만, 1897년에 J. J. 정도와 비교하여 계산하여 보니 그 입자들의 질량은 수소 원
톰슨(Thompson , J . J ., 1856 ~1940 )은 그림 II - 4 와 자 질량의 1800배나 가벼운 입자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후에
같은 장치로 음극선을 연구하며 그렇지 않다는 것을 톰슨이 발견한 (-)전하를 띠는 이 입자를 전자라고 하였다.
알게 되었다. 진공관 내부에 있는 양쪽 전극에 전압이 톰슨은 그가 발견한 전자와 수소 이온을 바탕으로
걸리면 (+)전극에서 (-)전극까지 광선이 생긴다. 톰슨 1903년에 원자 모형을 제시하였다. 원자 전체는 중성이
은 그 광선이 전기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통해 그 광선 므로, (+)전하는 푸딩처럼 원자 전체에 고르게 퍼져있
은 단순한 빛이 아니라 (-)전하를 띠고 있는 입자들의 으며 (-)전하를 띠는 입자는 푸딩에 건포도처럼 박혀
흐름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그 광선은 자기장에 의해서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림 II - 4 J. J. 톰슨의 음극선 실험
2.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
1909년에 러더퍼드(Rutherford, E., 1871~1937) 로 휘거나 다시 튕겨 나오기도 하였다. 러더퍼드는 이러한 실
는 원자의 내부 구조가 톰슨의 모형보다 더 복잡할 것이 험 결과가 원자에 포함된 양전하가 모두 아주 작은 부피 속에
라고 생각하고, 그림 II -5와 같이 금으로 된 아주 얇은 박 모여 있지 않으면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막에 알파 붕괴 때 나오는 헬륨의 원자핵인 알파(a) 입자 이러한 실험을 바탕으로 1911년에 러더퍼드는 새로운
를 쏘아 산란시키는 실험을 하였다. 톰슨의 모형에 따르면, 전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는데, 원자의 중심에는 (+)전하를 띤
자의 질량은 매우 작고 양전하는 원자 전체에 넓게 퍼져 분포 원자핵이 있고, 그 주위에 (-)전하를 띤 전자가 있다는
하고 있으므로, 알파(a) 입자를 쏘면 대부분의 알파 입자들은 것이다. 전자가 전기력에 의해 원자핵에 끌려가지 않고
직진하지만 전자를 만날 경우 아주 약간만 휠 것으로 예상하였 원자가 안정성을 가지는 것은 태양계의 행성과 같이 전
다. 그러나 놀랍게도 적은 수의 알파(a) 입자들은 매우 큰 각도 자가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기 때문이라고 제안하였다.
그림 II - 5 러더퍼드의 알파(a) 입자 산란 실험
88 Ⅱ. 물질과 전자기장
그림 II - 6 보어의 원자 모형
4. 현대의 원자 모형
보어의 원자 모형은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은 잘 라 파동 함수로 기술하여 보어 모델이 설명하지 못했던
설명할 수 있었지만, 다른 원자들의 선 스펙트럼을 설명 많은 스펙트럼 현상을 훌륭하게 설명하였다. 그 이후 하
할 수 없었다. 1924년에 드브로이(de Broglie, L. V., 이젠베르크(Heisenberg, W. K., 1901~1976), 보른
1892~1987)는 빛이 파동이면서 입자의 성질을 가진다 (Born, M., 1882~1970) 등의 과학자에 의해 양자 역
면 전자도 입자이지만 파동의 성질을 가진다고 제안했다. 학이 발전하였고, 그 결과 그림 II -7과 같이 전자 궤도는
KKdinger, E., 1887~1961)
1926년에 슈뢰딩거(Schro 존재하지 않고 오직 전자를 발견할 확률만을 알 수 있다
에 의해 발표된 슈뢰딩거 방정식은 전자를 입자가 아니 는 현대의 원자 모형이 성립되었다.
그림 II - 7 현대의 원자 모형
1. 물질의 구조와 성질 89
탐구 ❸ 실험 빛의 스펙트럼 관찰 탐구 능력
과정
90 Ⅱ. 물질과 전자기장
1. 광원의 종류에 따라 빛의 스펙트럼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보자. 1. 기체 방전관은 고전압을 사
용하므로 주의한다.
2. 기체 방전관에 들어 있는 기체의 종류에 따라 스펙트럼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차이가 나
2. 햇빛을 관찰할 때는 직접 태
는 까닭은 무엇인가? 양을 보지 않도록 한다.
자기 평가
물리는 통한다!
스펙트럼이란 파장에 따라 분
산된 빛의 띠를 말한다. (▶ 중 2
과학, 물질의 구성, ▶ 통합과
학, 물질의 규칙성과 결합)
(가) 연속 스펙트럼 (나) 선 스펙트럼
그림 II - 8 연속 스펙트럼과 선 스펙트럼
그림 II - 9 여러 원소의 선 스펙트럼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여러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분광
1. 이해 가열된 고체와 기체에서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은 어떻게 다른가?
기로 관찰하여 광원에 따른 빛의 스
2. 적용 광고나 장식용으로 이용되는 네온사인이 내는 빛의 색은 빨간색, 노란색, 주황색, 펙트럼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청록색 등 다양하다. 네온사인이 다양한 색깔의 빛을 내는 까닭은 무엇일까?
1. 물질의 구조와 성질 91
짝 토의 만약 전자가 원자핵 주위의 어느 궤도에나 있을 수 있다면 원자에서 방
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은 어떻게 나타날까?
에너지 양자화
기체 원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깔이 띄엄띄엄한 선으로 나타나는 것을
앞에서 관찰하였다. 그 까닭을 알아보자.
탐구 ➍ 자료 해석 원자에서 빛의 방출 사고력
(가) (나)
92 Ⅱ. 물질과 전자기장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기체 원자에서 방출하는 빛의 스펙
1. 이해 보어의 원자 모형에서 양자수가 클수록 전자의 에너지는 어떻게 되는가?
트럼이 띄엄띄엄 선으로 나타나는
2. 적용 기체 원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이 띄엄띄엄 선으로 나타나는 까닭은 무엇 까닭을 추론할 수 있다.
인가?
1. 물질의 구조와 성질 93
E = hf (플랑크 상수 h=6.63\10_#$`JK s)
(가) 에너지 흡수
(나) 에너지 방출
94 Ⅱ. 물질과 전자기장
2. 그림 (나)의 스펙트럼선 4개는 각각 전자가 어느 궤도에서 n=2인 궤도로 전이한 경우인지 찾
아보고, 선 사이의 간격이 다른 까닭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들뜬상태에 있는 전자가 전이하면서
1.1 이해 수소 원자 내 전자가 –0.85`eV인 에너지를 가진 상태에서 –3.40`eV인 에너지
나타내는 수소의 선 스펙트럼을 보
를 갖는 상태로 전이할 때 방출되는 빛에너지와 진동수는 각각 얼마인가?
어의 원자 모형으로 해석할 수 있다.
2.1 적용 기체 방전관에서 나타나는 여러 기체의 선 스펙트럼의 선의 위치와 개수가 다른
까닭은 무엇인가?
1. 물질의 구조와 성질 95
탐구 ➏ 실험 고체의 전기 전도성 비교 탐구 능력
과정
96 Ⅱ. 물질과 전자기장
결과 및 정리
자기 평가
1. 물질의 구조와 성질 97
준위가 일정한 폭을 가진다. 이렇게 폭을 가진 에너지 준위를 에너지띠라 하고, 고체 띠 간격(eV), 302`K
황화 납(PbS) 0.37
에너지띠 사이에 전자가 배치되지 않는 에너지 간격을 띠 간격이라 한다.
저마늄(Ge) 0.67
절대 온도 0`K에서 원자의 제일 바깥쪽에 해당하는 전자가 차지하고 있는 에너 규소(Si) 1.11
이산화 규소(SiO2) 9
한다. 표 II - 1처럼 고체마다 원자가 띠와 전도띠 사이의 띠 간격이 다르므로, 이에
[출처: solid state electronic
따라 고체의 전기 전도성이 달라진다.
Devices, 2000]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실험으로 전기 전도도가 큰 물질, 작
1. 이해 기체와 고체의 에너지 준위는 어떻게 다른가?
은 물질, 그 중간인 물질을 구분할
2. 적용 상온에서 저마늄(Ge)과 다이아몬드(C)의 띠 간격은 각각 0.67`eV, 5.5`eV이다. 수 있다.
저마늄(Ge)과 다이아몬드(C)의 전기 전도성을 비교하시오.
98 Ⅱ. 물질과 전자기장
고체들은 고체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른 특징을 가지고 거리는 은백색의 광택이 있다. 이것은 금속에서는 전자의
있다. 에너지띠에 의해서 고체의 가장 대표적인 특성인 전 에너지 준위가 연속적으로 있어서 대부분 빛의 파장을 흡수
기 전도도의 차이가 생긴다. 이러한 특성 외에도 고체 대부 했다가 방출하기 때문이다.
분의 성질은 고체의 에너지띠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고체 반면 그림 II - 14의 (나)와 같이 일부 금속은 금색을 띠는
의 전기 전도도뿐만 아니라 열전도도, 광학적 성질, 자기적 것을 볼 수 있다. 그 까닭은 특정 에너지띠에 의해 파장이 약
성질, 탄성 등도 에너지띠에 의해서 생기는 성질이다. 600`nm 이하인 빛의 반사율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물질의 광학적 성질은 빛과 같은 전자기파를 또한 대부분의 유리가 투명한 까닭은 유리 내부의 에너지
물질이 흡수, 산란, 굴절, 편광하는 과정에서 결정된다. 그림 띠의 띠 간격이 커서 가시광선의 에너지에 의해 전자가 원
II - 14의 (가)와 같이 우리가 보는 대부분의 금속들은 반짝 자가 띠에서 전도띠로 올라갈 수 없기 때문이다.
생각해 보기
1 고체의 물리적 성질은 에너지띠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고체의 물리적 성질을 변
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1. 물질의 구조와 성질 99
탐구 ➐ 조사 반도체의 역할 문제 해결력
다음 전자 기기 속에 모두 반도체가 들어 있다.
MP3 교통 카드 내비게이션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전자 기기 속의 반도체가 널리 사용
1. 이
해 순수한 반도체에 불순물을 첨가하면 전기 전도도는 어떻게 되는가?
되는 까닭을 설명할 수 있다.
2. 적용
저마늄(Ge)은 규소(Si)와 같이 원자가 전자가 4 개인 원소이다. 저마늄(Ge)을 이용
하여 p형 반도체 또는 n형 반도체를 만들 때, 어떤 원소를 도핑할까?
탐구 ➑ 실험 다이오드의 특성 탐구 능력
과정
가.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과정
발광 다이오드의 긴 다리는 건전지나 직류 전원 장치의 (+)극에 짧은 다
리는 건전지의 (-)극에 연결하고, 다이오드를 관찰해 보자.
전류계를 이용하여 전압에 따른 전류의 세기를 측정해 보자.
발광 다이오드의 (+)와 (-)를 반대로 연결하여 과정 , 를 반복하자.
나.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과정
함수 발생기를 발광 다이오드에 연결하고, 교류의 진동수를
1`Hz로 설정하자.
교류 발생기의 진동수를 10`Hz, 20`Hz, 30`Hz, 60`Hz로
바꾸어 가며 발광 다이오드에서 나오는 빛을 관찰하자.
결과 및 정리
자기 평가
1. 어떤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에서 빛이 나오고, 어떤 경우는 나오지 않는가?
1.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2. 교류 전원으로 실험했을 때 다이오드에서 나오는 빛은 어떻게 되는가?
3. 다이오드의 가장 대표적인 특성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2. 다이오드의 가장 대표적인 특성을
토의해 보자. 말할 수 있는가?
전압
그림 II - 18 발광 다이오드의 원리
확인하기
핵심 역량 평가하기
다이오드의 특성과 다양한 기능을
1. 이해 다이오드에서 전류가 흐르게 하려면 p 형 반도체와 n 형 반도체에 전극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다.
연결해야 하는가?
발광 다이오드(LED)의 역사는 1907년 영국의 라디오 엔지니어인 라운드(Round, H. J., 1881~1966)가 고체 물질에서
전류의 흐름에 의해 빛이 방출되는 ‘전류 발광’ 현상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라운드 이후 여러 화합물 반도체 기반의 결
정 성장 기술이 발달하면서 1960년대 초반에 최초의 적색 LED가 개발되었고 1960년대 말에 녹색 LED가 개발되어 주로
시계, 계기판, 계산기 등에 사용되었다.
높은 에너지 효율과 긴 수명, 친환경 등의 장점이 있는 LED로 백색광을 만들 수 있다면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백색 LED를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백색 LED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 바로 청색 LED였다.
청색 LED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청색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여러 후보 반도체 물질 중에서 질화 갈륨(GaN)
만이 효율적으로 청색 빛을 방출하였다. 하지만 질화 갈륨(GaN) 기반의 화합물 반도체는 고품질의 결정 성장과 p형 도핑이
어려워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연구를 중단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일본의 한 연구 팀에 의해 최초로 p형 전도성을 띠는 질
화 갈륨(GaN) 반도체가 실현되었다. 그리고 일본의 한 화학 회사에서 대량 생산이 가능한 고품질의 p형 질화 갈륨(GaN)
반도체 결정을 얻는 기술이 개발되어 1990년대에 그림 II - 20과 같이 청색 LED가 실용화되었다.
백열등이나 형광등이 LED로 대체되면서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와 환경 문제 해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가) (나)
그림 II - 20 청색 발광 다이오드(LED)
조사하기
1 청색 LED를 기반으로 백색 LED를 어떻게 만드는지 알아보자.
조사하기
2. 그래핀의 응용 분야는 매우 광범위하므로 ‘꿈의 신소재’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래핀이 응용될 수 있는 분야를 조사해 보자.
3. 그래핀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들이 많다. 어떤 문제들이 있는지 조사해 보자.
4. 탄소로 이루어진 탄소 나노 튜브나 탄소 60개가 모여서 만들어진 풀러렌(Fullerene)의 구조를 조사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