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 log
- 2025-08-08: 프로젝트 시작
- 2025-08-09: task-master, claude code로 kotlin spring 예제 만들기 시작
- 2025-08-10: kotlin-in-action, spring 공식 문서 학습
- 책이 두꺼운 관계로 별도 일정 분리 후 진행
- 2025-08-12: kotlin-in-action의 학습 기한을 늘림
- 생각보다 내 학습 루틴이 무너져 있음.
- 회복과 함께 하기 때문에 길어 질 것으로 예상
- 2025-08-19: kotlin-in-action 학습 완료, welcomer 작업 시작
- kotlin-in-action을 정리하는 것은 면접 이후
- 중간 가족여행으로 일정이 조금 더 소요됨
- 기술 스택을 최대한 맞춰서 만들어보고, 동작/구성확인, 추후 참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 기본적인 개념은 NestJS와 동일(NestJS가 따라 만듦)하므로 빠르게 익힌다.
- 기한: 2일
- kotlin-in-action을 본다.
- spring 공식 문서를 본다.
- 기한: 7일 + 3일(가족여행으로 인해 연장)
- OCI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한계인 instance, mysql까지만 사용해서 간단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 방명록 사이트로, 개인 사이트에 방문하는 사람들이 방명록을 남기면, 이를 알림의 형태로 발행하는 식이다.
- 구체적인 기획은 추후 PRD, 기능 명세서를 작성하여 공유한다.
- 기한: 4일
- cucumber까지 해서 테스트 만들기
- docker compose로 동작 시키기
- 각각의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로그를 따라가며 확인하기
- 모니터링 등은 어떻게 하는지 확인하기
- PRD 작성
- task-master 사용 없이 직접 구현할 예정
- claude code 또한 사용하지 않을 예정
- 자동완성의 경우만 적극 활용
- 기능 명세서 작성
- 기능 명세서에서 api 정의 까지 수행
- 기능 구현
- cucumber를 통한 시나리오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여 ATDD 스타일을 일부 차용해 진행
- unit은 coverage 생각 말고 작성 (private method의 경우, 필요한게 아니면 테스트를 위해 노출하지 않기)
- change log
- 작성 예정
- change log
- 작성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