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경창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창군
慶昌君
조선 선조의 왕자
이름
이주 (李珘)
시호 효헌 (孝獻)
신상정보
출생일 1596년 9월 23일(1596-09-23) (음력)
출생지 조선 평안도 평양 전중 행궁
사망일 1644년 1월 16일(1644-01-16)(47세) (음력)
사망지 조선 경기도 남양 사저
부친 선조
모친 정빈 홍씨
배우자 군부인 창녕 조씨
자녀 6남 5녀

경창군(慶昌君, 1596년 11월 12일(음력 9월 23일) ~ 1644년 2월 23일(음력 1월 16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다. 선조의 서9남으로, 정빈 홍씨의 소생이다.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생애

[편집]

가계

[편집]

조선 제14대 선조의 서9남으로, 어머니는 후궁 정빈 홍씨이다.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1596년(선조 29년) 음력 9월 23일[1]에 태어났다. , 이름은 주(珘)이다. 정정옹주의 친동생이며, 광해군과 임해군 정원군의 이복 동생이자 영창대군의 이복 형이다. 본관전주이다.

생모 정빈 홍씨는 남양 홍씨 홍여겸의 딸로[2], 1580년(선조 13년) 종2품 숙의에 책봉되어 입궁하였다[3]. 이후 정1품 빈에 올랐으며, 인조 연간에 사망하였다[4].

왕자 시절

[편집]

8살 때인 1603년(선조 36년) 경창군(慶昌君)에 봉해졌다[5]. 1608년(광해군 즉위) 유영경의 옥사 직후 정운원종공신 1등(定運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5살 때인 1610년(광해군 2년) 혼례를 올렸으며, 당시 이 혼례는 정원군(훗날의 원종)이 주관하였다[6]. 이후 1617년(광해군 9년) 음력 11월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에 대한 폐비론이 불거졌을 때는 폐비에 찬성하는 의견을 냈다[7].

인조 즉위 후에는 1625년(인조 3년) 음력 1월 21일에 있었던 소현세자관례에 주인(主人)의 자격으로 참여하였으며[8], 그 공으로 안구마[주 1] 1필을 하사받았다[9]. 1628년(인조 6년)에는 역모 혐의를 뒤집어 쓴 인성군에 대한 처벌을 요청하였으나[10], 1631년(인조 9년)에는 경창군 자신이 이귀김자점 등으로부터 폐단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탄핵의 대상이 되었다[11].

1632년(인조 10년) 음력 10월 16일에는 아들 양녕군회은군의 상소로 인해 역모에 휘말리는 일이 있었다. 당시 양녕군이 경창군의 이복 형 임해군(광해군의 친형)의 양자로 들어가 있었는데, 경창군이 이러한 양녕군을 위해 남몰래 역모를 꾸민다는 이야기였다. 당시 국청까지 열렸으나 역모 고변이 거짓으로 판명나면서 경창군은 무사하였다[12]. 한편 1636년(인조 14년)에는 초피[주 2]를 헐값에 사들여 매점매석을 저지르는 바람에 사헌부로부터 또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인조는 이에 대해 별다른 처벌을 하지 않고 지나갔다[13].

사망과 후손

[편집]

1644년(인조 22년) 음력 1월 16일 향년 49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14]. 경창군의 묘지명에는 1월 17일 사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광해군, 인조 때 많이 희생된 그의 친척들과 달리 그는 정치적으로 희생되지 않고 천수를 누렸다. 1871년(고종 8년) 음력 3월 16일 고종으로부터 효헌(孝獻)의 시호를 받았다.

경창군은 창녕 조씨 조명욱의 딸과 혼인하여 4남 3녀를 두고, 측실에게서 2남 2녀를 두었다. 조씨는 예의가 있었으나 경창군보다 5년 먼저인 1639년(인조 17년)에 사망하였다[1]. 조씨 소생의 장남 창원군과 차남 양녕군은 각각 임해군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모두 요절하였고, 3남 평운군신성군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며 1659년(현종 즉위년)에 수릉관에 임명되었다[15]. 4남은 창성군이다. 장녀는 이후걸에게, 차녀는 류연에게, 3녀는 심약하에게 시집갔다. 한편 측실 소생의 두 아들은 창임군창흥군이다[2].

1864년(고종 1년)에는 그의 후손들이 각각 흥완군영평군의 양자로 선발되어 그 후사를 이었다[16][17].

가족 관계

[편집]
  • 아버지 : 조선 제14대 왕 선조(宣祖, 1552 ~ 1608, 재위 : 1567 ~ 1608)
  • 생모 : 정빈 홍씨(貞嬪 洪氏, 1563 ~ 1638)
  • 장인 : 부사(府使) 증 좌의정(贈 左議政) 조명욱(曺明勗)
    • 부인 : 군부인 창녕 조씨(郡夫人 昌寧 曺氏, 1594 ~ 1648)[19]
      • 장녀 : 전주 이씨(1613 ~ ?)[20]
      • 사위 : 용인 이씨 익찬(翊贊) 이후걸(李後傑)
        • 외손녀 : 이혜숙(李惠淑, 1631 ~ ?)
        • 외손녀 : 이말숙(李唜淑, 1634 ~ ?)
        • 외손녀 : 이애숙(李愛淑, 1638 ~ ?)
        • 외손자 : 이재악(李載岳, 1647 ~ ?)
        • 외손자 : 이진악(李鎭岳, 1650 ~ ?)
        • 외손녀 : 이만애(李晚愛, 1655 ~ ?)
      • 장남 : 창원군(昌原君) 이준(李儁, 1614 ~ 1639)[19] - 이복형인 임해군의 양자로 출계[출처 필요][주 3]
      • 며느리 : 현감(縣監) 한사덕(韓師德)의 딸 군부인 청주 한씨
        • 손자 : 청평군(淸平君) 이천(李洤)
        • 손자 : 청흥정(淸興正) 이헌(李瀗)
        • 손자 : 청풍군(淸豊君) 이옥(李沃)
      • 차남 : 양녕군(陽寧君) 이경(李儆, 1616 ~ 1644) - 임해군의 양자로 출계
      • 차녀 : 이옥란(李玉蘭, 1619 ~ ?)[21]
      • 사위 : 진주 류씨 류연(柳㝚, 1621 ~ ?)
        • 외손녀 : 류초원(柳初媛, 1638 ~ ?)
        • 외손녀 : 류현원(柳賢媛, 1639 ~ ?)
        • 외손자 : 류창운(柳昌運, 1642 ~ ?)
      • 3녀 : 이말란(李唜蘭, 1622 ~ ?)[22]
      • 3녀 사위 : 청송 심씨 심약하(沈若河)[23]
        • 외손녀 : 심여취(沈女翠, 1643 ~ ?)
        • 외손녀 : 심여용(沈女容, 1647 ~ ?)
        • 외손자 : 심방(沈滂, 1652 ~ ?)
        • 외손자 : 심장(沈漳, 1654 ~ ?)
      • 3남 : 평운군 구(平雲君 俅, 1624 ~ 1662) - 이복형인 신성군의 양자로 출계
      • 4남 : 창성군 필(昌城君 佖, 1627 ~ 1689)[19] - 이복동생인 영창대군의 양자로 출계[주 4]
    • 측실 : 일은(日隱) - 양민 출신
      • 서장남 : 창림군(昌臨君) 이일(李佾, 1629 ~ 1690)[19] - 의창군의 양자로 출계
    • 측실 : 득환(得環) - 속(贖) 양민
      • 서장녀 : 이백덕(李百德, 1630 ~ ?)[24]
      • 사위 : 구취형(丘就衡)
    • 측실 : 덕지(德只) - 속(贖) 양민
      • 서차남 : 창흥군(昌興君) 이수(李脩, 1638 ~ 1704)[25]
      • 며느리 : 박세유(朴世裕)의 딸 군부인 고령 박씨
        • 서손자 : 고평군(高坪君) 이철(李澈)
        • 서손자 : 고성군(高城君) 이석(李氵+奭)
        • 서손자 : 고릉수(高陵守) 이즙(李濈)
        • 서손녀 : 동래 정씨 정세혁(鄭世爀)의 처
    • 측실 : 애운(愛雲) - 속(贖) 양민
      • 서차녀 : 이천금(李千今, 1634 ~ ?)[26]
      • 사위 : 순흥 안씨 안집(安㙫)

각주

[편집]
내용주
  1. 안장을 지운 말
  2. 방한용 모피
  3. 선원록》이나 《선원계보기략》에는 양자로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지 않는다.
  4. 선원보략수정의궤(璿源譜略修正儀軌) 1874년 판에 기록되어 있음
참조주
  1. 국조인물고 〈이주〉
  2.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경창군 약사”. 2015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8일에 확인함. 
  3. 《조선왕조실록》선조 14권, 13년(1580 경진 / 명 만력 8년) 5월 26일(갑오) 1번째기사
  4. 《조선왕조실록》인조 37권, 16년(1638 무인 / 명 숭정 11년) 11월 18일(병자) 2번째기사
  5.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경창군〉”. 2016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8일에 확인함. 
  6. 《조선왕조실록》광해 31권, 2년(1610 경술 / 명 만력 38년) 7월 1일(갑진) 2번째기사
  7. 《조선왕조실록》광해 121권, 9년(1617 정사 / 명 만력 45년) 11월 25일(병술) 10번째기사
  8. 《조선왕조실록》인조 8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1월 21일(경오) 1번째기사
  9. 《조선왕조실록》인조 8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 5년) 2월 6일(을유) 3번째기사
  10. 《조선왕조실록》인조 18권, 6년(1628 무진 / 명 천계(天啓) 8년) 1월 20일(임오) 2번째기사
  11. 《조선왕조실록》인조 25권, 9년(1631 신미 / 명 숭정 4년) 10월 11일(신해) 2번째기사
  12. 《조선왕조실록》인조 27권, 10년(1632 임신 / 명 숭정 5년) 10월 16일(경진) 2번째기사
  13. 《조선왕조실록》인조 32권, 14년(1636 병자 / 명 숭정 9년) 1월 19일(을축) 2번째기사
  14. 《조선왕조실록》인조 45권, 22년(1644 갑신 / 명 숭정 17년) 1월 16일(을사) 2번째기사
  15. 《조선왕조실록》현종 1권, 즉위년(1659 기해 / 청 순치 16년) 5월 4일(갑자) 3번째기사
  16. 《조선왕조실록》고종 1권, 1년(1864 갑자 / 청 동치 3년) 8월 13일(신사) 2번째기사
  17. 《조선왕조실록》고종 1권, 1년(1864 갑자 / 청 동치 3년) 9월 21일(기미) 3번째기사
  18. 디지털안산문화대전 〈정정옹주 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9. 선조자손록 권3
  20. [1]
  21. http://royal.aks.ac.kr/Ge/JokboPageData?bookId=JSK_WJ_K21047&pid=64109
  22. http://royal.aks.ac.kr/Ge/JokboPageData?bookId=JSK_WJ_K21047&pid=64124
  23. 광주부윤 심총의 아들 · 응교 심광세의 손자 · 증 영의정 심엄의 증손자 · 병조판서 심의겸의 고손자
  24. http://royal.aks.ac.kr/Ge/JokboPageData?bookId=JSK_WJ_K21047&pid=64148
  25. 일제강점기 시기의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소응의 7대조
  26. [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