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필린
보이기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1,3-dimethyl-7H-purine-2,6-dio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58-55-9 |
ATC 코드 | R03DA04 |
PubChem | 2153 |
드러그뱅크 | DB00277 |
ChemSpider | 2068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7H8N4O2 |
분자량 | 180.164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100% (IV) |
단백질 결합 | 40% (primarily to albumin)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Hepatic to 1-methyluric acid |
생물학적 반감기 | 5–8 hours |
배출 | ?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A(오스트레일리아)C(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By mouth, IV, rectal |
테오필린(theophylline, 1,3-디메틸크산틴(1,3-dimethylxanthine))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잔틴 약물로서, 다양한 브랜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잔틴계에 속하는 이 물질은 구조와 약리적 특성이 테오브로민, 카페인과 유사성을 가지며 자연에서 쉽게 발견되며 차(차나무), 코코아(카카오)에 존재한다. 적은 양의 테오필린은 간의 카페인 대사 처리 산물 가운데 하나이다.[1]
역사
[편집]테오필린은 차잎에서 최초로 추출되었으며 1888년 독일의 생물학자 알브레히트 코셀에 의해 화학적으로 식별되었다.[2][3] 7년 뒤, 1,3-dimethyluric acid으로 시작되는 화학합성이 에밀 피셔, Lorenz Ach에 의해 기술되었다.[4] 테오필린 합성의 대안 방식인 퓨린은 1900년 독일의 다른 과학자 Wilhelm Traube에 의해 도입되었다.[5] 테오필린의 최초의 임상적 활용은 1902년 이뇨제로서 사용되기 시작했다.[6] 천식 치료로 처음 보고되기까지 20년의 시간이 더 걸렸다.[7] 이 약물은 Theostat 20, Theostat 80라는 이름으로 최대 1970년대까지 시럽으로 처방되었으며 1980년대 초 Quibron이라는 이름의 알약 형태로 판매되었다.
각주
[편집]- ↑ Mandal, Ananya. “Caffeine Pharmacology”. 《Website Medical News》. 2016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Kossel A (1888). “Über eine neue Base aus dem Pflanzenreich”. 《Ber. Dtsch. Chem. Ges.》 21: 2164–2167. doi:10.1002/cber.188802101422.
- ↑ Kossel A (1889). “Über das Theophyllin, einen neuen Bestandtheil des Thees”. 《Hoppe-Seyler's Z. Physiol. Chem.》 13: 298–308.
- ↑ Fischer E, Ach L (1895). “Synthese des Caffeins”. 《Ber. Dtsch. Chem. Ges.》 28 (3): 3139. doi:10.1002/cber.189502803156.
- ↑ Traube W (1900). “Der synthetische Aufbau der Harnsäure, des Xanthins, Theobromins, Theophyllins und Caffeïns aus der Cyanessigsäure]”. 《Chem. Ber.》 33 (3): 3035–3056. doi:10.1002/cber.19000330352.
- ↑ Minkowski O (1902). “Über Theocin (Theophyllin) als Diureticum”. 《Ther. Gegenwart》 43: 490–493.
- ↑ Schultze-Werninghaus G, Meier-Sydow J (1982). “The clinical and pharmacological history of theophylline: first report on the bronchospasmolytic action in man by S. R. Hirsch in Frankfurt (Main) 1922”. 《Clin. Allergy》 12 (2): 211–215. doi:10.1111/j.1365-2222.1982.tb01641.x. PMID 7042115.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테오필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