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어
사용 국가 | 중화민국 |
---|---|
언어 인구 | 1500만여 명 |
순위 | 21위 이하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 민어 민난어 취안장어 (복건어) 대만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대만 |
표준 | 중화민국 교육부 |
언어 부호 | |
ISO 639-3 | – |
대만어(중국어 정체자: 臺灣話/台灣話, 백화자: Tâi-oân-ōe, 타이뤄: Tâi-uân-uē, 한어 병음: Táiwānhuà 타이완화[*])[1][2][3][4]는 대만에 가장 널리 쓰이는, 민난어에서 파생된 방언[5]이다. 줄여서 대어(중국어 정체자: 臺語, 백화자: Tâi-gí/Tâi-gú, 타이뤄: Tâi-gí/Tâi-gú, 한어 병음: Táiyǔ 타이위[*])라고도 부른다.
역사
[편집]청나라 시기에 해금이 되어 중국 대륙에서 대만으로 건너온 이들의 대부분이 민난 지방에서 도래하였기 때문에,[6] 민난어가 대만인의 제어를 대신하여 대만의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다. 일본 제국의 대만일치시기(1895-1945)에는 일본어가, 국민당의 대만 지배시기(1945-2000)에는 각각 표준 중국어가 공식 언어였기 때문에 대만어는 공식어로서의 지위를 누리지 못했다.[7]
그렇지만 대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아직도 많이 남아 있는 편이다. 2009년 중화민국 정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대만 민중의 80%가 대만어를 사용할 줄 아는 것으로 확인되었다.[8]
기타 명칭
[편집]- 중화권에서는 대어(臺語) 혹은 대만화(臺灣話)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 Ho̍h-ló-uē: 하카인들은 일찍이 민난인들을 Ho̍h-ló라고 불렀으며,[13] 민남인들의 언어도 Ho̍h-ló-ue̍(Ho̍h-ló話)라고 불러왔다.[14]
- 대만민남어(臺灣閩南語): 대만섬과 민난에서의 민난어의 용어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부르는 명칭으로,[15][16] 중화민국 교육부, 교육부 국어추행위원회 및 전국어문경새가 채용하는 이름이다. 기타 유사한 이름으로서는 대민어(臺閩語), 복대어(福臺語), 푸젠어(福建語) 등이 있다.
쓰임새
[편집]대만에서 대중교통의 방송에서 대만어를 들을 수 있으며,[17] 정치인들은 민심을 얻기 위해 대만어로 연설한다. 대만어는 정치적으로 대만의 독자적 정체성의 상징 중 하나이다.
음운
[편집]대만어는 성조언어로, 다른 중국어 언어들보다 성조 변화가 광범위하고 심하다.
자음
[편집]양순음 | 치경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후음 | |||||||
---|---|---|---|---|---|---|---|---|---|---|---|
비음 | [m] | m ㄇ |
[n] | n ㄋ |
[ŋ] | ng ㄫ |
|||||
파열음 | 무기음 | [p] p ㄅ |
[b] b ㆠ |
[t] t ㄉ |
[k] k ㄍ |
[ɡ] g ㆣ |
|||||
유기음 | [pʰ] | ph ㄆ |
[tʰ] | th ㄊ |
[kʰ] | kh ㄎ |
|||||
파찰음 | 무기음 | [ʦ] ts ㄗ |
[ʣ] j ㆡ |
[ʨ] ts(i) ㄐ |
[ʥ] j(i) ㆢ |
||||||
유기음 | [ʦʰ] | tsh ㄘ |
[ʨʰ] | tsh(i) ㄑ |
|||||||
마찰음 | [s] | s ㄙ |
[ɕ] | s(i) ㄒ |
[h] | h ㄏ | |||||
설측음 | [l] | l ㄌ |
양순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후음 | |
---|---|---|---|---|
비음 | [m] -m |
[n] -n |
[ŋ] -ng |
[◌̃] -nn |
불파음 | [p̚] -p ㆴ |
[t̚] -t ㆵ |
[k̚] -k ㆶ |
[ʔ] -h ㆷ |
모음
[편집]전설 | 중설 | 후설 | 성절 자음 | ||||||
---|---|---|---|---|---|---|---|---|---|
비모음 | 비모음 | 비모음 | |||||||
고모음 | [i] i ㄧ |
[ĩ] inn ㆪ |
[u] u ㄨ |
[ũ] unn ㆫ |
[m̩] m ㆬ |
[ŋ̍] ng ㆭ | |||
중모음 | [ɛ] e ㆤ |
[ɛ̃] enn ㆥ |
[o]/[ə] o ㄛ/ㄜ |
[ɔ] oo ㆦ |
[ɔ̃] onn ㆧ | ||||
저모음 | [a] a ㄚ |
[ã] ann ㆩ |
성조
[편집]대만어는 7-8개의 성조가 있다.
성조 번호 | 이름 | 대만 민난어 로마자 병음 방안 표기법 |
---|---|---|
1 | 음평 (陰平) | a |
2 | 음상 (陰上) | á |
3 | 음거 (陰去) | à |
4 | 음입 (陰入) | ah |
5 | 양평 (陽平) | â |
6 | 양상 (陽上) | ǎ |
7 | 양거 (陽去) | ā |
8 | 양입 (陽入) | a̍h |
어휘
[편집]근년의 언어연구에 의하면(by Robert L. Cheng and Chin-An Li, for example), 약간의 예외(약 10% - 25%)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대만어의 낱말은 다른 중국어방언과 동계어라고 하고 있다. 반면에 동계어인지 아닌지 잘 알 수 없는 한자형태소에 의한 어구성이라고 확실히 판정할 수 없는 것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유명한 것으로 tshit-thô→놀러 가다가 있다. 그 중의 몇 가지는 최근 남방의 중국어족의 주변언어그룹인 따이까다이어족, 먀오야오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과의 대조연구가 진행되며, 그러한 비한어계 언어의 잔존이다라고 하는 지적도 되고 있다. 이러한 한어기원이 아닌 語를 굳이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는, 의미나 발음이 같은 한자로 나타내서 표기하거나 일본에서 국자같이 새롭게 창작한 독자적인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근년의 대만어 문자운동에서는 분명한 한자부분은 한자로, 그렇지 않는 것은 로마자로 혼합표기한 한라(漢羅)라고 하는 표기방법이 제창되어, 몇 가지 출판물도 나오고 있다.
핑보족 언어에서 유래된 어휘
[편집]말레이어 유래의 어휘
[편집]대만어 | 한국어 | 말레이어 | 국어 (대만 화어) |
---|---|---|---|
se-kok-bí | 서양쌀 | sago | 西谷米(xīgǔmǐ) |
pin-nn̂g | 빈랑 | pinang | 檳榔(bīnláng) |
일본어 유래의 어휘
[편집]또한, 대만어의 어휘에는 일제 시대에 유입한 일본어 기원의 어휘가 몇 개 있으며 푸젠성의 민난어와는 다르게, 일본어계 어휘를 다수 받아들인 것이 특징으로, 중화민국 교육부가 대만어 상용사전에서 수록하고 있는 외래어는 총 172건이다.[19] 예를 들면 아저씨를 의미하는 oo-jí-sáng은 일본어: おじさん에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일본어와 달리 경멸의 뉘앙스는 적다. 쇼와 전기에 쓰인 일본어: おじさん은 단지 중년남성을 가리키는 단어였으며, 그것이 그대로 대만에 들여온 것에 비해, 헤이세이 시대에 쓰인 일본어: おじさん은 의미가 변화해서 경멸적인 뜻을 포함하게 되었기 때문에, 양자의 의미가 빗나가 버린 것이다. 아줌마를 의미하는 oo-bá-sáng은 일본어: おばさん에서 유래되었으며, oo-bá-sáng도 마찬가지이지만, 이 낱말은 대만에서는 가정부적인 의미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메이지 시대에 일본인 가정에서 가정부를 おばさん이라고 부른 것에서 시작을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대만어로 발음하는 어휘
[편집]대만어 | 백화자 | 한국어 의미 | 유래한 일본어 | 국어 (대만 화어) |
비고 |
---|---|---|---|---|---|
便當 | piān-tong | 도시락 | 弁当 | 便當 | |
口座 | kháu-chō | 계좌 | 口座 | 帳戶 | 주로 대만 중부와 남부에서 사용되며, 북부에서는 戶頭가 사용된다. |
出張 | chhut-tiuⁿ/chhut-tioⁿ | 출장 | 出張 | 出差 | 주로 중년세대가 사용. 젊은 세대는 出差을 사용한다. |
手形 | chhiú-hêng | 어음 | 手形 | 支票 | 주로 대만 중부와 남부에서 사용되며, 북부에서는 支票가 사용된다. |
注文 | chù-bûn | 주문 | 注文 | 訂購 | |
寄付 | kià-hù | 기부 | 寄付 | 捐獻 | |
案內 | àn-nāi | 안내 | 案内 | 指南 | |
水道 | chúi-tō | 수도 | 水道 | 水管 | |
放送 | hòng-sàng | 방송 | 放送 | 廣播 | |
郵便 | iû-piān | 우편 | 郵便 | 郵件 | |
便所 | piān-só͘ | 변소 | 便所 | 廁所 | |
病院 | pēⁿ-īⁿ/pīⁿ-īⁿ | 병원 | 病院 | 醫院 | |
注射 | chù-siā | 주사 | 注射 | 打針 | |
同窗 | tông-chhong | 동창 | 同窓 | 同學 | |
見本 | kiàn-pún | 견본 | 見本 | 樣品 | |
人氣 | jîn-khì/lîn-khì/gîn-khì | 인기 | 人気 | 人氣 | |
飛行機 | hoe-lêng-ki/hui-lêng-ki/poe-lêng-ki | 비행기 | 飛行機 | 飛機 | |
自轉車 | chū-choán-chhia | 자전거 | 自転車 | 自行車 |
일본어 그대로 발음하는 어휘
[편집]대만어 | 한국어 의미 | 국어 (대만 화어) |
비고 |
---|---|---|---|
no-li | 김 | 海苔 | |
mi-so | 된장 | 味噌 | |
su-si | 초밥 | 壽司 | |
o-lian | 어묵 | 關東煮 | |
wa-sa-bi | 고추냉이 | 山葵 | |
sa-si-mi | 회 | 生魚片 | |
tha-kho | 문어 | 章魚 | |
khang-pang | 간판 | 招牌 | |
bang-gah | 만화 | 卡通漫畫 | |
nin-jin | 당근 | 胡蘿蔔 | |
to-sang | 아버지 | 父親 | 대만에서는 전쟁 전에 일본 교육을 받은 세대를 to-sang世代라고 한다. |
kha-sang | 어머니 | 母親 | |
ni-sang | 형, 오빠 | 兄 | |
ah-ni-khi | 형님 | 老大 | |
ne-sang | 언니, 누나 | 姐 | |
o-ji-sang | 아저씨 | 老先生 | |
o-ba-sang | 아줌마 | 老太太 | |
sang | ~씨,~선생 | ~先生 | |
un-chiang | 운전수 | 司機 | 일본어와는 달리 경멸의 뉘앙스는 적다. |
se-bi-ro | 신사복 | 西裝 | |
kha-bang | 가방 | 皮包 | |
me-si | 명함 | 名片 | |
tha-tha-mi | 다다미 | 疊蓆 | |
hi-noo-khih | 노송나무 | 檜木 | |
khiu-khe | 휴식 | 休息 | |
ai-sa-tsu | 인사 | 打招呼 | |
o-en | 응원 | 捧場 | |
hahn-kou | 반항 | 還手 | |
ki-mo-chi | 기분 | 心情(情緒,感覺) | |
si-a-ge | 마무리, 완성 | 整修 | |
kan-so | 건조 | 乾燥 | |
sang-so | 산소 | 氧氣 | |
a-sa-li | 깨끗이, 간단히 | (做事)乾脆、俐落大方 |
기타 외국어의 어원이 일본어를 거쳐서 전해진 외래어
[편집]대만어 | 한국어 의미 | 국어 (대만 화어) |
어원 |
---|---|---|---|
thian-puh-la | 튀김 | 天婦羅 | 포르투갈어: tempero |
sa-vi-su | 서비스 | 服務 | 영어: service |
ho-su | 호스 | 水管 | 영어: hose가 유래된 것이지만, 어원은 네덜란드어: hoos이다. |
ga-su | 가스 | 瓦斯 | 네덜란드어: gas |
phang | 빵 | 麵包 | 포르투갈어: pão |
san-to-it-chih | 샌드위치 | 三明治 | 영어: sandwich |
khu-li-mu | 크림 | 鮮奶油 | 영어: cream |
ba-ta | 버터 | 奶油 | 영어: butter |
tho-ma-to | 토마토 | 番茄 | 영어: tomato |
khe-chhah-phu | 케첩 | 番茄醬 | 영어: ketchup이 유래된 것이지만, 어원은 민난어: 鮭汁 kechiap、koechiap이다. |
bi-lu | 맥주 | 啤酒 | 네덜란드어: bier |
tsioo-koo-le-too | 초콜릿 | 巧克力 | 영어: chocolate |
o-to-bai | 모터사이클 | 機車 | 일본어식 영어 auto bike |
tho-la-ku | 트럭 | 卡車 | 영어: truck |
han-tho-lu | 핸들 | 機車(腳踏車)[모호한 표현] | 영어: handle |
en-jin | 엔진 | 引擎 | 영어: engine |
tai-ya | 타이어 | 輪胎 | 영어: tire |
lo-lai-ba | 드라이버 | 螺絲起子 | 영어: driver ←screwdriver |
phian-jih | 펜치 | 鉗子 | 영어: pinch →끼우다 |
khong-ku-li | 콘크리트 | 混凝土 | 영어: concrete |
thài-luh | 타일 | 瓷磚 | 영어: tile |
sia-chu | 셔츠 | 襯衫 | 영어: shirt |
ne-ku-tai | 넥타이 | 領帶 | 영어: necktie |
su-li-pa | 슬리퍼 | 拖鞋 | 영어: slipper |
the-ni-su | 테니스 | 網球 | 영어: tennis |
kha-tian | 커튼 | 窗簾 | 영어: curtain |
ho-the-lu | 호텔 | 旅館 | 영어: hotel |
gi-ta | 기타 | 吉他 | 영어: guitar |
pi-a-no | 피아노 | 鋼琴 | 영어: piano |
ka-me-la | 카메라 | 相機 | 영어: camera |
la-ji-o | 라디오 | 收音機 | 영어: radio |
lai-ta | 라이터 | 打火機 | 영어: lighter |
sai-su | 사이즈 | 尺寸 | 영어: size |
kòng-ku | 스컹크 | 落空 | 영어: skunk |
문자체계
[편집]광동어와는 다르게, 대만어는 그다지 독자적인 문자체계를 발달시키지 못했으며,[20] 대만어로 쓰인 활자물도 희귀하다.
한자표기
[편집]한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만 전통극인 가자희(歌仔戲)의 대사는 한자로 표기된다.[21] 2007년 교육부에서는 대만어의 공식한자표기법을 발표, 이를 교육과정에 도입하기로 하였다.[22]
백화자
[편집]19세기 중반에 기독교 선교자들이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을 만들어냈다.[23] 이 로마자를 구어(백화, 白話)를 표기하는 글이라는 뜻으로 백화자(白話字 Pe̍h-ōe-jī)라 부르는데, 백화자로 쓰인 문헌이 더 풍부하며,[24] 1999년의 예상에 따르면 백화자를 읽을 줄 아는 인구는 10만명 정도로 추산된다.[25] 반면, 한자와 백화자를 섞은 표기법도 현대에 유행하고 있는데,[26] 이를 흔히 한라(漢羅 Hàn-lô)라 일컫는다.[27] 민난어 위키백과는 백화자로 쓰여있으나, 간혹 토론란에서 한자로 적힌 버전을 읽을 수 있는 문서도 있다.
주음부호
[편집]1946년 타이완성 국어추행위원회에 의해 대만어와 대만 하카어를 표기하기 위한 확장 주음부호가 고안되었다.
한글 표기법
[편집]1987년 대만의 언어학자인 쉬차오더에 의해 만들어졌다.
가나 표기법
[편집]대만일치시기에 일본어의 문자인 가나를 개량한 대만어 가나(臺灣語假名)라는 표기법이 고안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사멸했다.
각주
[편집]- ↑ 이해우 (2001년 6월). “대만어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중어중문학》 (제28집): 65-84.
- ↑ 이해우 (2001년 6월). “臺灣語 및 標準中國語와의 비교를 통해 본 臺灣國語 文法의 特徵”. 《중국어문학논집》 (제17호): 135-152.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이근안 (2002년 2월 9일). 《한국인을 위한 대만어(민남어)발음 및 병음 입문》. 중국학센터. 98쪽. ISBN 8989143225, 9788989143222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 ↑ 장천매, 노순릉 (2011). “한자어를 통해 본 한국어와 대만어 현대 한자음 비교 분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 ↑ Ota, Katsuhiro (2005). “An investigation of written Taiwanese (Master's thesis)” (PDF).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영어): 1. 2009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明清閩南的海外移民(1567-1840)》,南投/暨南國際大學/歷史學研究所,1999
- ↑ Ota, Katsuhiro (2005). “An investigation of written Taiwanese (Master's thesis)” (PDF).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영어): 1. 2009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CHAPTER 2 People and Language Archived 2010년 8월 3일 - 웨이백 머신,《The Republic of China Yearbook 2008》,Government Information Office
- ↑ “為台語正名,何謂「台語」?”. 2011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 “대만객가어상용사전,항목: 臺灣話, 臺語”. 中華民國教育部國語推行委員會. 2010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9월 10일에 확인함.
대만에서 널리 통용되는 하카어, 고산족 언어, 표준 중국어, 민난어 및 기타 민족들의 언어를 통틀어서 대만어라 칭한다
- ↑ 黃玉振 (2011년 5월 25일). “不僅只有臺灣閩南語,臺灣客家語也是「臺語」! →대만의 민난어 뿐만 아니라, 대만의 하카어도 〈대만어〉!”. 行政院客家委員會.[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台語」是讓人不安的稱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대만어〉는 사람을 불안케 하는 이름이다
- ↑ 《臺灣文獻叢刊》,〈第七十三種 鳳山縣采訪冊〉,「粵稱閩人曰福老,謂福建人也」,盧德嘉
- ↑ 臺日大辭典,臺灣總督府,829頁,1931-1932年
- ↑ 吳守禮 (2003년 4월 2일). “一百年來的臺灣話研究回顧#正名”. 老醫之家. 2009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 “請回歸學術專業的理性討論--談九年一貫課程大綱閩南語課程調整之必要連署書”. 台灣羅馬字協會. 2008.
- ↑ 大眾運輸工具播音語言平等保障法
- ↑ Wu (2000), 2691쪽.
- ↑ “臺灣閩南語常用詞辭典附錄:外來詞”. 中華民國教育部.
- ↑ Ota, Katsuhiro (2005). “An investigation of written Taiwanese (Master's thesis)” (PDF).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영어): 21. 2009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教育部公布閩南語300字推薦用字 卡拉OK用字也被選用 (Ministry of Education in Taiwan announces 300 recommended Hokkien words, Karaoke words are also selected) Archived 2011년 7월 24일 - 웨이백 머신; 「臺灣閩南語推薦用字(第1批)」已公布於網站,歡迎各界使用 (Announcement of recommended words for Taiwanese Hokkien)
- ↑ 教育部公布閩南語300字推薦用字 卡拉OK用字也被選用 (교육부가 민남어 추천용자 300자를 공표, '가라오케용자'도 선택) Archived 2011년 7월 24일 - 웨이백 머신; 「臺灣閩南語推薦用字(第1批)」已公布於網站,歡迎各界使用 (<대만민남어 추천용자> (제1차)를 인터넷상에 공표, 각계에서 사용할 것을 권하다)
- ↑ Chen, Ping (1999). 《Modern Chinese: History and Sociolinguistics》 (영어). 캠브리지: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5쪽.
- ↑ Chiung, Wi-vun Taiffalo (2005). 《Language, Identity and Decolonization》 (영어). 타이난: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272쪽. ISBN 957-8845-85-5.
- ↑ Lin, Alvin (1999). “Writing Taiwanese: The Development of Modern Written Taiwanese” (PDF). 《Sino-Platonic Papers》 (영어) (89): 17. 2011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Klöter, Henning (2005). 《Written Taiwanese》 (영어). 비스바덴: Harrassowitz. 225쪽. ISBN 3-447-05093-4.
- ↑ Ota, Katsuhiro (2005). “An investigation of written Taiwanese (Master's thesis)” (PDF).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영어): 21. 2009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2일에 확인함.